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한마디

10을 받으면 11을 준다. 자기는 10을 받았는데 다른 사람에게는 9밖에 주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만일 모든 사람들이 그런 식으로 살아간다면 사회 전체가 점점 빈곤해질 것이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10을 받고 11을 준다면 그 나머지 1이 점차 쌓이면서 사람들은 몸과 마음이 풍족한 생활을 보낼 수 있게 된다. -마쓰시타 고노스케 대부분의 다툼과 갈등의 원인은 주는 것 보다 더 많이 받으려고 하는 데 있습니다. 하나 더 받기 보다, 하나 더 주겠다는 아주 조그마한 마음의 변화가 거대한 세상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더보기
잘 쉬는 것이 참 경쟁력이다. 사람은 일하기 위해서 이 세상에 태어났다. 모든 사람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가장 빛난다. 그러나 일만 알고 휴식을 모르는 사람은 브레이크가 없는 자동차와 같이 위험하기 짝이 없다. -헨리 포드 마크 트웨인은 ‘성공의 비결은 당신의 직업(vocation)을 휴가(vacation)로 만드는데 있다’고 말했습니다. 휴가를 보내는 것처럼 즐겁게 일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는 메시지입니다. 한편 링컨 대통령은 ‘내게 나무를 벨 시간이 8시간 주어진다면, 그 중 6시간은 도끼를 가는데 쓰겠다’고 말했습니다. 휴식과 재충전, 준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메시지입니다. 더보기
행동에 따르는 위험, 안락함에 따르는 위험 행동에는 위험과 대가가 따른다. 그러나 이때의 위험과 대가는 안락한 나태함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장기적 위험보다는 훨씬 정도가 약하다. (There are risks and costs to a program of action, but they are far less than the long-range risks and costs of comfortable inaction.) -케네디 대통령(John F. Kennedy) 1961년 케네디(John F. Kennedy) 대통령은 ‘60년대 말까지 달에 사람을 보내고 그를 지구로 무사히 귀환시킬 것이다’라고 선언했습니다. 전혀 불가능한 비현실적 목표라는 공격에 그는 ‘쉽기 때문이 아니라 어렵기 때문에 그런 일을 한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쉽게 달성할 수 없는.. 더보기
주저하지 말고 운명과 맞서라. 나는 용의주도하기보다는 오히려 과단성 있는 편이 낫다고 생각한다. 운명의 신은 여신이므로 그 신을 정복하려면 난폭하게 다뤄야 하기 때문이다. 운명은 냉정한 생활 태도를 지닌 자에게보다도 과단성 있는 사람에게 고분고분 한 것 같다. 요컨대 운명은 여신이므로 이 여신은 언제나 젊은이에게 이끌린다. 젊은이는 신중함 보다는 거칠고 대담하게 여자를 지배하기 때문이다. -마키아벨리, ‘군주론’ 운명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척하는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끝없이 도전한다면, 운명의 여신은 우리에게 기꺼이 길을 내어 주리라 믿습니다. 단 한번 주어진 소중한 인생, 우물쭈물하면서 허송세월하기 보단 거칠고 대담하게 운명에 도전하는 이들이 많아지길 바랍니다. 더보기
나비로 변신하려면 번데기가 되어야 한다. 나비로 변신하려면 번데기가 되어야 한다. 유충이 나비로 변신하기 전에는 번데기가 되어 죽은 척하는 법이다. 이처럼 인간도 흐름을 바꾸고 싶을 때에는 이전의 자신을 죽이고 죽은 시늉을 하는 것이 좋다. -후지하라 가즈히로, ‘생의 흐름을 바란다’ 세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성공하는 방법 역시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이런 세상에서는 과거의 성공경험이 오히려 미래의 실패를 가져옵니다. 과거와 똑같은 상황이 전개되지 않는 이상 과거의 성공법칙이 제대로 작동될 리 없습니다. 따라서 의도적으로 과거의 성공경험을 모두 털어내는 작업을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더보기
하루하루가 힘들다면 하루하루가 힘들다면 지금 높은 곳을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편안하고 쉬운 매일 매일이라면 골짜기로 향한 걸음이다. 때로 평지를 만나지만 평지를 오래 걷는 인생은 없다. -조정민, ‘사람이 선물이다’에서 위 책에서 옮겨 적어 봅니다. 내가 하기 쉬운 일만 골라서 하고 보람 있는 인생을 산 사람은 없습니다. 내가 하기 힘든 일에 도전하지 않고 의미 있는 인생을 산 사람은 없습니다. 더보기
비주류 예찬, 결국 소수가 항상 옳았다. 한 사회에 소수의견이 얼마나 많은 가는 그 사회가 품고 있는 천재의 수와 정신적 활력, 도덕적 용기에 비례한다. 용기 있는 소수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사회가 큰 위기에 빠졌다는 뜻이다. -존 스튜어트 밀 비주류, 소수를 예찬하는 명구를 모아보았습니다. “비주류라고 두려워하지 마라. 오늘날 인정받는 주류들도 비주류에서 시작했다.(러셀) 다수의 편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게 될 때야말로 잠시 멈추고 돌아볼 시간이다.(마크 트웨인) 진실은 언제나 소수의 몫이고 소수는 늘 다수보다 강하다.(키에르케고르) 거의 언제나, 창조적이고 헌신적인 소수가 세상을 발전시켜 왔다.(마틴 루터 킹)” 더보기
전문가와 기술자의 차이 그 사람이 가진 기술적인 역량 때문에, 고객에게 훌륭하다는 소리를 듣는 전문가는 극히 드물다. 전문가의 반대말은 비전문가가 아니라 기술자이다. 전문성은 능력이 아니라 대부분 태도에 달려 있다. 진정한 전문가는 열정을 가진 기술자다. 사람들은 당신이 얼마나 열정이 있는지 알기 전에는 당신이 얼마나 아는지에 관심 없다. (Very few consultants become known by their clients as “great” purely as a result of their intellectual or technical abilities. The opposite of the word “professional” is not “unprofessional” –the opposite of professiona.. 더보기
좋은 경쟁, 나쁜 경쟁 경쟁에는 좋은 경쟁과 나쁜 경쟁이 있다. 좋은 경쟁의 주체는 ‘자신’이다. 오로지 자신에게 충실하며 최선의 목표를 향해 전력 질주하는 경쟁이다. 반면 나쁜 경쟁의 주체는 ‘남’이다. 사사건건 남을 의식하고 남과 비교하며, 이기는데 목표를 둔 경쟁이다. 인생이라는 마라톤의 참된 의미는 순위다툼이 아니라 자신과 싸워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는데 있다. -강지원, ‘세상 어딘가엔 내가 미칠 일이 있다.’에서 모든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낸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상대를 이기려고 집착하는 대신 마음을 비우고 좌우 살피지 않고 오로지 자신에게 충실했다고 말합니다. 인생은 타자와의 경쟁이 아닙니다. 오로지 ‘어제보다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한 자신과의 외로운 싸움일 뿐입니다. 더보기
말로 이기는 것은 공허하다. 더 평화스럽고 더 사랑받는 삶을 위한 놀랍고도 진정한 전략은,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이 옳다는 생각을 기분 좋게 유지하도록 두는 것이다. 그 영광을 그들로부터 빼앗지 마라. 그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바로 잡으려고 해서는 절대로 안된다. -리차드 칼슨 사람들은 논쟁하고 토론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논쟁이 끝나면 십중팔구 쌍방 모두가 논쟁 전보다 더 강하게 자기 의견을 고집하며 자신의 승리를 확신합니다. 그러나 말로 이기는 것은 공허합니다. ‘서로 논쟁한들 오해를 없애지 못하며, 협력과 관용, 동정하는 마음을 통해서만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다.(恨不消恨, 端賴愛止)’는 부처님 말씀을 새겨봅니다. 더보기
의심 많은 바보가 세상을 바꾼다. 누구나 어렸을 때는 질문을 한다. 새로운 것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갖는다. 하지만 점점 자라면서 더 이상 묻지 않는다. 더 이상 신기한 것이 없고, 어제 뜬 태양이 오늘도 뜬다는 것을 당연시하고, 그것을 의심하는 사람을 바보로 생각한다. 하지만 기억하라. 의심 많은 바보가 세상을 바꾼다는 사실을 –이어령, ‘우물을 파는 사람’에서 묻는 사람은 5분만 바보가 되지만 묻지 않는 사람은 영원히 바보가 됩니다. 질문하지 않으면 호기심이 죽고 호기심이 죽으면 창의력이 실종됩니다. (유영만, ‘생각지도 못한 생각지도’에서 인용) 더보기
창조적 발상은 아주 간단하다. 창조적 발상은 아주 간단하다.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낯설게 만드는 것이다. -이어령, ‘우물을 파는 사람’에서 ‘낯선 곳은 하나의 새로운 세계를 의미하는 것이며, 불안의 자리를 의미하는 것이며, 뜻하지 않았던 새로운 영상에 대한 발견을 의미한다.’ 같은 책에서 퍼온 글입니다. 더보기
창의적인 사람들의 공통점 창의적인 사람들은 서로 다르긴 하지만 한 가지 점에서 일치한다. 그것은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랑한다는 사실이다. 그들을 움직이는 것은 명예나 돈에 대한 욕심이 아니다. 좋아하는 일을 할 따름이다. (Creative people differ from one another in a variety of ways, but in one respect they are unanimous: They all love what they do. It is not the desire to achieve fame or make money that drives them: it is the opportunity to do the work that they enjoy doing.)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 더보기
‘나는 운이 있다’ 말하는 사람을 선택한다. 실력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같이 일할 수 있는 품성을 갖추고 있는가’가 중요하다. 또 한가지, 나는 행운을 가진 사람을 선택한다. 행운을 가진 사람은 조직에 큰 도움을 줄뿐 아니라 주위 사람을 행복하게 한다. 경험상 자기 스스로 행운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결국은 행운을 쥐고 있다. -토머스 누난(전 IBM 부사장 및 ISS 설립자) 경영의 신이라 일컬어지는 마스시타 고노스케 파나소닉 창업자도 ‘나는 운이 좋다’고 하는 사람을 채용한다 말했습니다. 성공을 운으로 돌릴 줄 아는 사람은 겸손합니다. 운이 좋기 위해서는 미리 철저하게 준비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운이 좋으려면 주변 사람들에게 미리미리 덕을 쌓아야 합니다. 운 좋은 사람들이 행운을 가져온다는 것은 맞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단순하게 만들기가 가장 어렵다 단순함의 완벽함이란 더 이상 보탤 게 남아있지 않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뺄게 없을 때 완성된다. -생텍쥐페리 ‘명료한 것은 단순함에서 비롯됩니다. 명료한 것은 결코 복잡하거나 모호하지 않습니다. 복잡하게 표현한다는 것은 사물의 본질과 핵심을 잘 모른다는 반증입니다. 복잡함은 장황함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더보기
나를 최고로 사랑하라. 당신의 존재는 우연이 아니다. 당신은 대량 생산되지 않았고, 일괄 조립된 상품도 아니다. 당신은 창조주에 의해 신중하게 계획되었고, 특별한 재능을 받았으며, 사랑을 받으며 세상에 나왔다. -막스 루카도 (작가)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는 것, 즉 자신이야말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유일무이한, 그 누구와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존재임을 깨닫는 데서 행복한 삶이 시작됩니다. 나를 최고로 사랑하는 사람만이 단 한번 뿐인 인생을 헛되이 살아가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합니다. 그런 사람이 다른 사람의 인생도 귀하게 여길 줄 알게 됩니다. 더보기
재능은 10배, 집중력은 1,000배의 차이를 만든다. 증기나 가스는 모아 가두지 않으면 연료가 되지 않는다. 나이아가라 폭포는 터널을 통과하지 않으면 전기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마음을 모으고 훈련하지 않으면 어느 삶도 위대해지지 못한다. -헨리 에머슨 파즈딕 목사 새무얼 스마일즈는 '여러 가지를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방법은 한 번에 한 가지씩만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재능은 10배, 집중은 1000배의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말도 있습니다. ‘우리는 한 가지 목표를 세우고 그것이 다른 모든 것에 우선하도록 할 때에야 성공할 수 있다.’ 아이젠하워 미대통령의 글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됩니다. 더보기
불공평한 일의 법칙 일의 법칙은 매우 불공평한 것 같다. 하지만 아무것도 이를 바꿀 수 없다. 일에서 얻는 즐거움이라는 보수가 클수록 돈으로 받는 보수도 많아진다. (The law of work does seem utterly unfair--but there it is, and nothing can change it: the higher the pay in enjoyment the worker gets out of it, the higher shall be his pay in money, also.) -마크 트웨인(Mark Twain) 좋아하니까 하게 되는 일을 하면 성공은 저절로 따르게 됩니다. 회사의 일을 즐길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원을 채우게 되면, 그들이 스스로 행복해하고, 부자가 되고, 회사도 더불어 부자가 되고 .. 더보기
욕심이 나를 성공시킬 원동력이 된다. 욕심이 없으면 평탄한 인생을 살 수 있다. 하고 싶은 욕심이 있기에, 하고 싶은 일이 있기에 시련도 겪는 것이다. 욕심이 없으면 벽에 부딪칠 일도 없다. 하지만 그래서는 진정한 뜻을 세우지 못한다. 욕심을 가져라. 그것이 우리를 성장시킬 원동력이 될테니깐. -사사키 쓰네오, ‘일과 인생의 기본기’에서 욕심이라고 하면 나쁘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욕심은 우리 삶의 원동력이 됩니다. 욕심이 있기 때문에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일하는 것입니다. 다만 자기 위주의 욕심은 반드시 벽에 부딪치기 마련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나만을 위한 욕심이 아닌, 공동체를 위한 욕심, 남을 먼저 배려하는 욕심으로 뜻을 세울 때 세상의 모든 힘이 나의 성공을 돕게 됩니다. 더보기
우리의 잠재력은 쓰여지기 위해 아우성치고 있다. 우리 중 완전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우리는 모두 부족하기에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우리에게 숨겨진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이는 실로 괴롭고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리고 바로 이때 통렬한 공허함과 갈망, 좌절, 그리고 분노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E.T 홀(인류학자) 우리 모두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잠재력을 깨닫지 못하고, 개발하지 못해 활용되지 못하고 있을 뿐입니다. 욕구 5단계이론으로 유명한 매슬로우는 ‘우리가 가진 능력은 쓰여지기 위해 아우성 치고 있다. 우리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때만 이러한 내면의 아우성을 잠재울 수 있다.’고 말합니다. 더보기